건강의학

뇌종양의 종류와 증상

영원하리 2024. 3. 26. 17:05

각 기관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가지고 있지만, 특히 뇌는 생명 유지에 중요할 뿐만 아니라 마음의 기억과 감정을 조절하는 매우 중요한 기관입니다. 뇌종양이란 무엇인지 알아 봅시다.

뇌종양이란

뇌종양은 두개골(두개골 내부)에서 발생하는 모든 신생물을 총칭하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뇌의 실질뿐만 아니라 뇌를 둘러싸고 있는 막(수막, 경막)과 뇌에 출입하는 신경 등 다양한 부위에 발생하는 모든 종양을 뇌종양이라고 합니다.

 

뇌종양의 종류

 본래 뇌조직의 일부에서 형성된 종양을 원발성 뇌종양이라고 하며, 암이나 육종 등 신체의 다른 부위에 형성된 세포가 혈액의 흐름을 통해 뇌로 들어가 뇌 조직에서 자랄 때 생기는 종양을 전이성 뇌종양이라고 합니다.


뇌에는 약 150종의 종양이 있으며, 이를 구성하는 세포의 악성도에 따라 양성 뇌종양과 악성 뇌종양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WHO(세계보건기구)의 등급 분류에 따르면 뇌종양은 가장 양성인 1등급부터 악성도가 가장 높은 4등급까지 나뉩니다.

 

전이성 뇌종양은 가장 악성도가 높은 뇌종양 중 하나입니다. 원발성 뇌종양과 4등급 상당의 악성종양도 있지만, 이 경우에도 '암'이라고 부르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양성 종양은 더 느리게 자라지만, 언제 형성되기 시작했는지 정확히 말하기는 어렵다. 악성 뇌종양은 종양이 커지면서 주변 정상 뇌 조직이 부풀어 오르는 경우가 많으며, 이로 인해 증상이 급격히 악화될 수 있습니다. 또한 조직학적으로 양성이어도 시술할 수 있는 신체 부위에 따라 치료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뇌종양의 증상

뇌종양이 발병하면 즉시 증상이 나타난다. 다양한 증상은 일정 크기에 이르렀을 때만 나타나며, 이러한 증상은 두개내 고혈압 증상과 국소 증상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두개내압 상승의 증상

단단한 두개골 안에는 뇌, 혈관, 뇌척수액이 있으며, 이러한 압력은 일정 범위 내에서 유지됩니다. 그러나 뇌종양이 발생하여 점차 커지면 뇌가 압박되어 부어오르고 뇌척수액의 흐름이 저하되어 두개내압이 높아지고 일정 범위를 넘으면 두통을 느끼게 됩니다. 두통은 아침에 심할 수 있으며 메스꺼움과 구토를 동반할 수도 있습니다. 감기나 위장 또는 장 질환의 증상으로 오인될 수도 있습니다. 만성적으로 지속되는 두통은 특히 조심해야 합니다.

 

국소 증상

뇌종양이 형성된 부위에 따라 해당 부위에 특이적인 신경학적 증상이 어느 정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대뇌는 전두엽, 측두엽, 두정엽, 후두핵, 기저핵으로 나뉩니다.


사지의 반대쪽 사지를 움직일 때 작용하는 운동 신경이 위치한 전두엽에 종양이 생겨 일정 크기에 이르면 사지의 움직임이 심해지고 사지 주위가 악화됩니다. 오른손잡이의 경우 왼쪽 전두엽의 종양이 에너지 상실, 건망증, 정서적 불안정, 성격 변화, 잘 말하기 어려움, 잘못된 말과 같은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오른손잡이의 경우 왼쪽 측두엽 뒤에 위치하면 단어를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두정엽에 형성되면 반대쪽에 감각 장애가 나타납니다. 특히 좌측 두정엽에 종양이 생기면 계산 불능, 좌우 구분 불능, 손가락 이름 인식 불능, 쓰기 불능, 읽기 불능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후두엽은 대뇌의 뒤쪽에 위치하여 빛의 정보를 인식하기 때문에 여기에 형성된 종양은 종양의 반대쪽에 시야 결손을 일으킵니다. 주변 시야가 좁아지기 때문에 접근하는 차를 알아차리는 것이 늦어지거나 운전 중에 벽이나 전신주에 부딪히는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소뇌는 신체의 균형을 유지하고 팔다리의 부드러운 움직임을 유지하는 데 관여합니다. 소뇌에 종양이 생기면 몸이 휘청거리고 제대로 서거나 걸을 수 없으며 어지러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뇌간에서는 신체와 대뇌의 신경이 상하로 이동하며, 뇌에서 가장 중요한 부위로 생명에 기본적으로 필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 부위에는 눈을 움직일 때 작용하는 안구 운동 신경, 얼굴의 감각을 관장하는 삼차 신경, 표정을 짓고 맛을 전하는 안면 신경, 음식을 삼키거나 목소리를 낼 때 작용하는 뇌 신경이 있습니다.

미각의 감퇴 등의 안면 마비, 먹거나 마실 때 질식하는 등의 뇌 신경 마비, 삼키기 곤란, 쉰 목소리가 발생합니다.


또한 대뇌 전반부의 종양은 갑작스러운 경련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성인이 되어 처음으로 경련을 일으킨다면 뇌종양에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뇌종양의 치료

뇌종양은 종양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치료의 원칙이다.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외과적 제거이지만, 방사선요법과 화학 요법(약물 요법)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