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번엔 혈액 암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이번엔 혈액 암의 종류의 하나인 백혈병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백혈병이란 무엇인가?
백혈병은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을 구성하는 세포인 조혈 모세포가 분화하면서 중간에 있는 세포가 암이 되어 걷잡을 수 없이 증식하여 정상세포를 침식하는 질병입니다.
백혈병의 메카니즘
백혈병은 조혈 모세포에서 백혈구, 적혈구 등의 혈액세포로 형질전환되는 과정에 있는 전구 세포라는 세포가 어떤 원인에 의한 염색체 및 유전적 이상으로 정상적으로 분화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면 전구세포가 암이 되어 백혈병 줄기세포로 분화하고, 줄기세포는 증식하여 백혈병 세포가 됩니다.
백혈병은 왜 걸리나?
많은 백혈병의 원인은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유전적 이상이 축적되면 백혈병이 발생할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한편, 특정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백혈병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백혈병의 종류
1.급성 골수성 백혈병
급성 골수성 백혈병은 골수성 세포여야 할 미성숙 세포가 설명할 수 없을 정도로 증식한 상태입니다. 백혈병 세포의 수가 증가하면 정상적인 조혈 기능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정상적인 적혈구가 감소하고 피로감이나 숨 가쁨 등의 빈혈 증상이 나타납니다. 정상 혈소판도 감소하기 때문에 치은 출혈과 코피가 보입니다. 또한 정상적인 백혈구가 없어 감염에 더 취약합니다. 병이 진행됨에 따라 피로가 증가하고 저항력이 감소하며 심각한 감염에 더 취약해집니다.
2.만성 골수성 백혈병
만성 골수성 백혈병은 혈액 생성의 원천인 조혈모세포가 암으로 변해 과립구, 적혈구, 골수아세포가 현저하게 증식하는 질환입니다. 암세포는 혈액검사나 골수검사로 검출되지만, 초기에는 증상이 없고, 급성전환의 악화 후에 발견되는 경우가 많은 질환이기도 합니다.
비정상적인 티로신 키나아제 단백질의 증가로 인해 백혈병 세포가 체내에서 계속 증가하여 정상적인 조혈 장애를 일으키고 염색체 검사에서 필라델피아 염색체가 발견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3.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은 백혈구 중 하나인 림프구가 림프구가 되기 전에 암이 되는 것을 말합니다. 림프절 부종과 관절 통증과 함께 뇌와 척수와 같은 중추 신경계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중추신경계에도 영향을 미치면 빈혈, 출혈,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두통과 메스꺼움도 나타납니다.
4.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은 림프구 중 하나인 B 림프구가 암으로 변할 때 발생합니다. 검사 결과 림프절, 간, 비장에서도 발견될 수 있는 비정상적인 B 림프구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진행됨에 따라 림프절, 간, 비장의 부종이 관찰됩니다.
급성 백혈병과 만성 백혈병의 차이점
급성 백혈병은 각 혈액 세포(백혈구, 적혈구, 혈소판)로 성장한 조혈모세포가 거의 성숙하지 않는 '모세포' 형태로 암세포(백혈병세포)가 되어 무한 증식하는 백혈병입니다.
미성숙 세포만 증식하기 때문에 성숙한 혈액 세포의 감소가 심하고, 증상의 발현과 진행이 빠른 것이 특징입니다.
만성 백혈병은 세포가 병리학적으로 증식하면서 어느 정도 성숙하는 백혈병입니다.
증상의 발현은 느리고 성숙 능력이 남아 있기 때문에 진행이 점진적이지만 가벼운 질병은 아닙니다. 몇 년 후에는 증상이 심해지고 빠르게 진행된다는 점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상적인 질환은 급성 증상이 약해지고 고착화되는 것을 만성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지만, 백혈병은 돌연변이가 일어나는 방식이나 염색체 이상이 다르기 때문에 전혀 다른 질환입니다.
급성 백혈병은 증상이 급성으로 발전할 수 있지만 만성 백혈병으로 발전하지는 않습니다.
골수성 백혈병과 림프구성 백혈병의 차이점
골수성 백혈병은 림프구, 혈소판, 적혈구 이외의 분화된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는 백혈병입니다. 이 모든 것은 골수에서 만들어지며 "골수성 세포"라고 불립니다.
림프구성 백혈병은 백혈구가 림프구로 분화하는 과정에서 이상이 발생하는 백혈병이다. 림프 조직에서도 림프구만 만들어지고, 림프구 T 세포와 B 세포를 "림프 세포"라고합니다.
림프구성 백혈병은 암세포가 주로 림프 조직에서 자라는 것을 "림프종"이라고 하고, 골수에서 암세포가 다량 성장하는 것을 "림프구성 백혈병"이라고 합니다.
백혈병의 증상은 무엇이 있나요?
급성 백혈병은 발병 직후 백혈병 세포의 증식으로 인해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반면에 만성 백혈병은 서서히 진행되며 발병 직후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진행됨에 따라 증상은 몸 전체에 나타납니다.
급성 백혈병의 증상
- 빈혈 증상: 심계항진, 숨가쁨, 피로감, 창백함 등
- 감염 증상: 감염에 대한 감수성
- 출혈 증상: 코피, 치은 출혈, 멍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급성 백혈병의 증상
만성 백혈병의 증상
- 일반적인 권태감
- 비장의 부종
- 식은땀
- 체중 감량
- 피부의 가려움증
- 위궤양
백혈병의 검사에는 무엇이 있나요?
1.면접
언제, 어떤 증상이 나타났는지, 발생한 순서대로 설명해야 한다.
최근 건강검진 결과를 보여주는 것도 좋다.
2.혈액검사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백혈구 유형 분해, 미성숙 세포 등의 수를 확인합니다.
3.골수검사
혈액 세포의 수와 모양의 변화, 미성숙 세포의 수, 염색체 및 유전적 이상, 세포 표면의 단백질 유형 등
많은 백혈병은 골수 검사로 확진됩니다.
4. 필요에 따른 검사
CT 스캔 : 장기 및 림프절의 부종확이
뇌척수액 검사 : 백혈병이 중추 신경계로 전이 되었는지 확인
감염성 질환 검사 : 백혈구 감소로 인한 감염성 질환 여부 확인
백혈병 치료 방법
백혈병은 혈액 세포에 생기는 암입니다. 따라서 수술로 완치가 어렵고, 항암제 치료(항암화학요법)가 주된 치료법이다. 항암제의 종류가 다양하기 때문에 백혈병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항암제와 병용하여 치료합니다. 또한 환자의 Mr./Ms.에 따라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골수 이식의 일종)과 항암제 치료를 병행할 수 있습니다.
1.약물 치료
세포독성 항암제
분자 표적 약물
키메라 항원 수용체 T세포 치료
스테로이드 약물
2. 골수 이식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
조혈모세포 이식은 골수 이식이라고도 불리며, 이 이름으로 들어본 적이 있는 분도 많을 것입니다. 조혈모세포는 혈액세포(백혈구, 적혈구, 혈소판)의 기초를 형성하는 세포입니다.
조혈모세포 이식을 받기 전에 "전처리"를 합니다. 전처리는 항암제와 방사선 요법으로 병든 세포를 포함한 조혈모세포를 환자로부터 제거하는 것입니다. 전처리 후 기증된 미씨 혈액 세포를 주입하여 수혈된 정상 조혈모세포로 환자의 혈액 세포를 만듭니다. 치료에서는 조혈모세포를 기증하는 사람을 기증자, 환자 씨를 수혜자라고 합니다.
골수 이식의 여러 방법 중 백혈병 치료에 사용되는 방법은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이라고 합니다.
'건강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상포진의 증상과 치료법 (0) | 2024.05.08 |
---|---|
혀가 아픈 이유 (0) | 2024.04.29 |
어금니 통증 이유와 완화법 (0) | 2024.04.24 |
혈액암의 종류 (0) | 2024.04.22 |
어깨의 통증의 종류와 질환 (4) | 2024.04.19 |